반응형
1. 비행기 종류
비행기는 용도, 크기,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뉩니다.
1-1. 여객기 (Passenger Aircraft)
- 사람을 수송하는 항공기로, 단거리부터 초장거리 노선까지 다양함.
- 예: Boeing 737, Airbus A320, Airbus A380, Boeing 777
1-2. 화물기 (Cargo Aircraft)
- 물품 수송을 위한 항공기.
- 여객기를 개조하거나 처음부터 화물기로 제작됨.
- 예: Boeing 747-8F, Airbus A330-200F
1-3. 군용기 (Military Aircraft)
- 전투, 정찰, 병력 수송, 공중 급유 등의 군사 목적으로 사용됨.
- 예: F-22 Raptor (전투기), C-130 Hercules (수송기), AWACS (조기경보기)
1-4. 경비행기 및 개인용 항공기
- 소규모 개인 또는 훈련용, 사업용 항공기.
- 예: Cessna 172, Piper PA-28
1-5. 헬리콥터
-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며 구조, 응급이송, 군사, 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.
2. 비행기 종류별 용도 및 탑승 인원
종류 | 용도 | 주요 기종 | 탑승 인원 |
---|---|---|---|
소형 여객기 | 단거리 노선 | Embraer E190 | 70~100명 |
중형 여객기 | 국내선, 단거리 국제선 | Boeing 737, Airbus A320 | 130~215명 |
대형 여객기 | 장거리 국제선 | Boeing 777, A350 | 250~400명 |
초대형 여객기 | 대량 수송 | Airbus A380 | 최대 850명 (일반적 500~600명) |
군용 수송기 | 병력/장비 수송 | C-130, C-17 | 최대 90명 + 장비 |
3. 비행기의 작동 원리
비행기의 비행은 4가지 힘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집니다.
3-1. 양력 (Lift)
- 날개 위와 아래를 지나는 공기의 속도 차이로 인해 압력 차이가 발생,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힘이 생성됨.
3-2. 추력 (Thrust)
- 엔진이 앞으로 밀어주는 힘.
- 제트 엔진, 터보프롭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음.
3-3. 항력 (Drag)
- 공기 저항으로 인해 비행기를 느리게 하려는 힘.
3-4. 중력 (Weight)
- 지구가 비행기를 끌어당기는 힘.
비행이 가능한 조건: 양력 > 중력, 추력 > 항력
4. 비행기에 들어가는 부품들
비행기는 수십만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- 동체(Fuselage)
- 날개(Wings)
- 꼬리 날개(Empennage)
- 조종면 (Elevator, Rudder, Aileron 등)
- 착륙장치 (Landing Gear)
- 엔진 (Jet Engine, Propeller Engine)
- 항공전자 장치 (Avionics)
- 연료 시스템, 유압 시스템, 산소 공급 장치 등
5. 비행기의 내부 구조
- 조종실 (Cockpit)
- 객실 (Cabin): 일반석, 비즈니스석, 일등석
- 주방 (Galley)
- 화장실 (Lavatory)
- 승무원 구역 (Crew Rest Area)
- 수하물칸 (Cargo Hold)
- 비상구 및 탈출 슬라이드
6. 비행기 제조 회사
6-1. 보잉 (Boeing)
- 미국 회사, 상업용/군사용 항공기 제작
- 대표 기종: 737, 747, 777, 787
6-2. 에어버스 (Airbus)
- 유럽 연합 중심의 다국적 기업
- 대표 기종: A320, A330, A350, A380
6-3. 엠브라에르 (Embraer)
- 브라질 기업, 소형 여객기 및 군용기 생산
6-4. 봄바디어 (Bombardier)
- 캐나다 기업, 비즈니스 제트기 생산
6-5. 기타: 록히드 마틴, 노스럽 그러먼 등 (주로 군용)
7. 비행기 관련 사건 사고 (전원 사망 사고)
- 말레이시아 항공 MH370: 2014년, 실종. 승객 239명 실종.
- 에어프랑스 447편: 2009년, 대서양 상공 추락. 228명 사망.
- 대한항공 007편: 1983년, 소련 영공 침범 후 격추. 269명 사망.
- 터키항공 981편: 1974년, 화물칸 도어 문제로 추락. 346명 사망.
- 일본항공 123편: 1985년, 수직 꼬리날개 파손으로 추락. 520명 사망 (역대 최악 단일 항공기 사고)
8. 비행기 비상상황 종류
- 기내 화재
- 기압 감소 (산소 마스크 필요)
- 조종실 침입/테러
- 엔진 고장
- 착륙장치 고장
- 난기류 (심한 기체 흔들림)
- 조종 시스템 이상
9. 비상상황 시 행동 요령
9-1. 해야 할 행동
- 승무원의 지시를 철저히 따름
- 산소 마스크 착용: 본인 먼저 착용 후 타인을 도울 것
- 좌석벨트 착용
- 구명조끼는 비행기 밖에서 부풀릴 것
- 비상 탈출 시 짐은 두고 신속하게 이동
9-2. 하지 말아야 할 행동
- 개인 수하물 챙기기
- 비상구를 임의로 열기
-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대기
- 탈출 순서를 무시하고 혼자 먼저 움직이기
10. 공항에서 탑승 전 체크할 사항들
- 여권, 항공권, 비자 확인
- 수하물 무게 및 제한 확인
- 온라인 체크인 여부 확인
- 공항 도착 시간: 국내선 1.5시간, 국제선 2~3시간 전
- 탑승 게이트 및 시간 확인
- 면세품, 위탁/기내 반입 금지 물품 확인
11. 출국 및 입국 수속에 필요한 것들
출국 수속
- 항공사 카운터에서 수속 (여권, 항공권 제시)
- 수하물 위탁
- 보안 검색
- 출국 심사
- 탑승 게이트 대기 및 탑승
입국 수속 (해외에서 돌아올 경우 또는 외국 입국 시)
- 입국 카드 작성 (국가에 따라 다름)
- 여권, 비자 확인
- 지문 및 사진 촬영 (일부 국가)
- 입국 심사
- 수하물 수령 및 세관 신고
반응형
'소식 >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계 속 국가, 이념과 특징별 분류 (9) | 2025.03.26 |
---|---|
남자와 여자의 언어적, 대화법 차이 그리고 신체 구조의 차이점 (5) | 2025.03.25 |
키보드 종류 및 사용 용도 (5) | 2025.03.22 |
AI 콘텐츠 제작 사이트 소개 (4) | 2025.03.19 |
네일아트 종류와 창업비용 (3) | 2025.03.19 |